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임신 난임 난임이란
여성측 원인
1배란장애
배란이란 자궁 양쪽에 위치하여 있는 난소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아기의 씨로 작용하는 난자가 나팔관 속으로 배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배란에 이상이 있을 경우 수정이 되지 않아 임신을 할 수 없게 되며 난임 여성의 약 30%정도가 배란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2나팔관 이상
나팔관은 자궁 양쪽에 위치해있는 가느다란 관으로써 자궁과 난소를 연결해 주는 관입니다. 나팔관은 남성의 정자가 이 관을 통과하여 난자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수정된 난자가 다시 자궁 쪽을 향해 이동하게 하는데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나팔관이 막힌 경우에는 남성의 정자와 여성의 난자가 만나지 못하므로 임신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나팔관 폐쇄에 의한 수정 장애 양쪽 나팔관이 막힌 경우에는 난자와 정자가 만나지 못하게 되므로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나팔관 이상에 의한 난임은 전체 난임의 약 25% 정도이며 염증성 질환의 증가와 더불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3자궁이상
자궁은 나팔관에서 수정된 난자가 계속 분열하면서 나팔관으로부터 자궁 속으로 들어와서 자궁 안쪽의 부드러운 막인 자궁 내막에 심어져서 10달 동안 태아를 성숙시키는 아기 집의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과거 염증, 소파수술의 경험과 월경출혈 상태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자궁내부에 유착이 발생하거나 자궁의 형태에 기형이 있는 경우, 자궁에 근종이 존재하는 경우 일부에서 임신과 착상을 방해하여 난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질과 자궁이 만나는 부위를 자궁경부라고 하며, 이 속에 있는 좁은 통로를 자궁경관이라고 합니다. 자궁경관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분비샘이 많이 있는데 이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배란주기에 맞춰 양과 질이 변화합니다. 자궁경관의 점액이 배란주기에 따른 적절한 변화를 하지 않거나 감염으로 인해 성질이 변화하면 정자의 유입을 방해하여 난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일부 여성에서는 몸 속에 정자를 공격하여 파괴하는 항체가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도 난임이 될 수 있습니다.4복강 내 이상
복강이란 자궁, 나팔관, 난소가 위치하고 있는 하복부의 공간을 말하는데 복 강 내에 이상(자궁내막증, 골반 내 염증, 골반 내 유착)이 있는 경우에는 난소로부터 배란된 난자가 나팔관으로 들어가는 과정을 방해하여 수정을 못하게 하거나, 나팔관의 운동성을 변화시켜서 정자나 수정란의 이동을 방해하여 임신을 방해하게 됩니다.남성측 원인
위험요인
여성인 경우 | 남성인 경우 |
---|---|
|
|
난임의 원인과 각 원인별 치료방법